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예산 단일
- 예산 한정성
- 코레일 할인
- 아르바이트
- 문화지체
- 2024년
- 정당사
- 수정적 다원주의
- 보수주의
- 예산
- 상대다수제
- 총계주의
- 갑진년
- 국가재정법
- 엘리트 이론
- 정당
- 예산 통일
- 독후감
- 추가 배송비
- 광역급행열차
- 크라우드웍스
- 정당 기원
- 의회정치
- 섬 지역
- 정치 음모론
- 신보수주의
- 절대다수제
- 선거
- 로컬 재발견
- 정당성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다원주의론 (1)
세상의 모든 이슈를 소개하는 뉴즈'S 블로그
현대 엘리트론에서 수정적 다원주의와 신보수주의(3)
3. 엘리트이론과 다원주의의 논쟁 엘리트이론에서 다원주의와 신다원주의는 고전적 민주주의 → 엘리트이론(유럽의 고전적 엘리트이론 → 미국의 엘리트이론) → 다원주의(고전적 다원주의 → R.Dahl의 다원론) → 신엘리트이론(무의사결정론) → 신다원론(정책망모형) 순으로 논쟁이 전개되었다. 이는 앞서 살펴본 1950년대 미국사회를 대상으로 논의된 미국의 엘리트이론이 이후 다알(R.Dahl) 등의 다원주의자들에 의해 비판을 받게 되자, 소위 신엘리트론자로 불리는 바흐라흐(p. Bachrach)와 바라츠(M. Baratz)가 ‘권력의 두 얼굴’에서 무의사결정론을 근거로 다원론을 비판하면서 논쟁이 전개 되었다. 이 논쟁을 자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다원주의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다원주의가 엘리트이론에서 어떠한 ..
정치
2021. 4. 14. 2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