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예산 통일
- 국가재정법
- 엘리트 이론
- 문화지체
- 크라우드웍스
- 정당 기원
- 아르바이트
- 로컬 재발견
- 갑진년
- 광역급행열차
- 수정적 다원주의
- 예산 한정성
- 정당
- 선거
- 독후감
- 정치 음모론
- 정당성
- 보수주의
- 추가 배송비
- 예산 단일
- 신보수주의
- 섬 지역
- 예산
- 코레일 할인
- 의회정치
- 2024년
- 절대다수제
- 정당사
- 총계주의
- 상대다수제
- Today
- Total
목록수정적 다원주의 (2)
세상의 모든 이슈를 소개하는 뉴즈'S 블로그
5. 바흐라흐(p. Bachrach)와 바라츠(M. Baratz) 신엘리트이론 그들은 다알의 실증적 접근방법이 단순한 명성에 의하여 엘리트의 권력행사를 파악하려고 한 헌터의 방법보다는 우수하지만 엘리트에 의한 권력행사의 다른 하나의 측면을 고려하지 못하였다고 비판하였다. 바흐라흐와 바라츠의 주요 주장은 정치권력이 두 가지 얼굴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밝은 얼굴은 정책결정과정이며 어두운 얼굴은 정책의제설정 과정인데, 엘리트는 불리한 정책의제가 채택되지 않도록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보며 이는, 엘리트들은 자신들에게 안전한 이슈만을 논의하고 불리한 문제는 거론조차 못하게 봉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을 무의사결정론이라고 한다. 무의사결정은 흔히 정책의제설정과정 이외에 정책결정 및 집행과정에도 이루어진다. ..
고대에서부터 오늘날 시대까지의 사회 발전에 있어 사회적 소수의 집단들에 의해 사회 발전이 많은 경우 진행되었다. 먼저, 사회적 소수의 집단들에 설명하자면 하나의 사회(가장 좁은 의미로 보았을 때 사회로써 두 명 이상의 사람이 존재하여 일련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집단)에서는 항상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으로 구분되어지는 이분법적 사회 구조 형태를 보여 왔다. 과거 부족사회의 족장, 귀족중심의 귀족정, 강력한 군주 중심의 군주정과 같은 제도들이 지배계급 형태를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이러한 지배계급들은 막강한 권력을 소유하여 피지배계급에 있어 통제를 가능케 하고 피지배계급들이 이를 당연시 여기도록 만들도록 하였다. 여기 나오는 지배계급이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엘리트와 동일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과거에 엘리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