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의회정치
- 총계주의
- 코레일 할인
- 정당 기원
- 엘리트 이론
- 수정적 다원주의
- 신보수주의
- 갑진년
- 예산 한정성
- 보수주의
- 상대다수제
- 예산 통일
- 정당사
- 추가 배송비
- 아르바이트
- 예산 단일
- 크라우드웍스
- 광역급행열차
- 예산
- 정당성
- 2024년
- 절대다수제
- 섬 지역
- 문화지체
- 정당
- 정치 음모론
- 선거
- 로컬 재발견
- 국가재정법
- 독후감
- Today
- Total
목록신보수주의 (3)
세상의 모든 이슈를 소개하는 뉴즈'S 블로그
10. 신보수주의 신보수주의자들은 이념의 힘을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외교 정책의 성패도 국내의 도덕논쟁의 승리에 좌우된다고 믿고 꾸준히 학계와 연구소, 언론 등에서 세력을 확장하려고 노력했다. 현재 신보수주의자들의 득세에는 9/11이라는 계기도 중요하게 작용했지만 그들의 꾸준한 세력 확장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고 보는 것이 진실과 더 가까울 것이다. 그렇다면 신보수주의자들의 이념과 철학은 어떤 기반 위에서 형성되어서 발전해왔는가? 보통 신보수주의자들을 1세대와 2세대로 구분하는데 1세대에 속하는 인물로는 어빙크리스톨, 노먼포도레츠, 진커크패트릭(JeaneKirkpatrick), 대니얼모이니핸(Daniel Moynihan) 등이 있고, 2세대에는 울포위츠, 윌리엄크리스톨, 루이스리비, 게리슈미트..
9. 스트라우스 엘리트주의 스트라우스는 정치 체제에 대해 플라톤적인 전통에 기반을 둔 매우 엘리트주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는 고전 철학자들이 인간의 완전성을 추구하는 형태를 칭찬하며 최선의 레짐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최선의 레짐은 최고의 인간들이 습관적으로 통치하는 것, 즉 귀족정이다. 선은 지혜와 동일하지 않더라도 하여튼 지혜에 좌우된다. 즉 최선의 레짐은 현자의 지배인 것 같다.(Strauss, 1953)’ 물론 소수의 현자들이 다수의 현명치 못한 시민들을 강제로 통치할 수 없다는 것을 스트라우스도 인지하고 있었기에 현실적 해결책으로 그는‘지혜와 동의의 요건을 조화시키는 것’에서 찾고 있다. 사실 이러한 엘리트주의적 관점은 사회의 안정과 질서를 우선시하는 보수주의적 ..
고대에서부터 오늘날 시대까지의 사회 발전에 있어 사회적 소수의 집단들에 의해 사회 발전이 많은 경우 진행되었다. 먼저, 사회적 소수의 집단들에 설명하자면 하나의 사회(가장 좁은 의미로 보았을 때 사회로써 두 명 이상의 사람이 존재하여 일련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집단)에서는 항상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으로 구분되어지는 이분법적 사회 구조 형태를 보여 왔다. 과거 부족사회의 족장, 귀족중심의 귀족정, 강력한 군주 중심의 군주정과 같은 제도들이 지배계급 형태를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이러한 지배계급들은 막강한 권력을 소유하여 피지배계급에 있어 통제를 가능케 하고 피지배계급들이 이를 당연시 여기도록 만들도록 하였다. 여기 나오는 지배계급이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엘리트와 동일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과거에 엘리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