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예산 통일
- 정치 음모론
- 의회정치
- 갑진년
- 예산 단일
- 아르바이트
- 상대다수제
- 예산
- 코레일 할인
- 문화지체
- 섬 지역
- 정당사
- 독후감
- 2024년
- 국가재정법
- 로컬 재발견
- 절대다수제
- 선거
- 보수주의
- 엘리트 이론
- 광역급행열차
- 크라우드웍스
- 총계주의
- 정당성
- 정당
- 수정적 다원주의
- 추가 배송비
- 정당 기원
- 예산 한정성
- 신보수주의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비례대표제 (1)
세상의 모든 이슈를 소개하는 뉴즈'S 블로그
선거에서의 정당성, 대표성, 비례성 제대로 알기
선거와 관련하여 글을 쓰다보면 정당성, 대표성, 비례성을 정확한 구분 없이 사용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 이유는 정확하게 각각의 개념화가 되어 있지 않고 스스로가 각각의 용어를 어디에,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모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정당성, 대표성, 비례성을 간단한 예시와 선거제도를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정당성, 대표성, 비례성 중 정당성과 대표성의 개념은 ‘대표성이 인정되었을 때 정당성 또한 인정되는가?’와 ‘정당성이 인정될 경우 대표성이 인정이 되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거제도 중 1인 선출 상대다수제는 후보가 당선되기 위해서는 ‘최다 표’를 얻어야 한다. 여기서 ‘최다 표’는 당선되기 위해서는 과반수 혹은 절대다수 표를 획득할 필요가 없으며, 다른 어..
정치
2021. 4. 21. 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