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신보수주의
- 상대다수제
- 예산 단일
- 국가재정법
- 섬 지역
- 크라우드웍스
- 보수주의
- 예산 한정성
- 정당성
- 예산
- 로컬 재발견
- 수정적 다원주의
- 아르바이트
- 독후감
- 총계주의
- 문화지체
- 갑진년
- 2024년
- 광역급행열차
- 엘리트 이론
- 정당
- 정치 음모론
- 예산 통일
- 정당사
- 의회정치
- 선거
- 절대다수제
- 코레일 할인
- 정당 기원
- 추가 배송비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비물질 문화 (1)
세상의 모든 이슈를 소개하는 뉴즈'S 블로그

먼저, 문화지체란 '비물질 문화가 물질 문화를 따라잡지 못하는 현상'을 이르는 말로 미국의 사회학자 윌리엄 필딩 오그번(William Fielding Ogburn)의 저서 〈사회변동론(社會變動論)〉에서 처음 언급된 이론이다. 이 이론에서의 주요 내용은 한 사회의 문화는 물질적인 것과 비물질적인 것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문화변동의 속도와 관련해서 본다면 이 2가지 영역이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함께 변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실제로는 물질적인 영역에서의 변화가 앞서기 때문에 정치 ·경제 ·종교 ·윤리 ·행동양식 등 이와 관련된 여러 가지 제도나 가치관의 변화가 이를 따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비물질문화가 물질문화의 변동 속도를 따라가지 못할 때 심각한 사회적 부조화현상이 야기된다. 예를 들..
사회
2021. 4. 14. 2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