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2024년
- 정당 기원
- 크라우드웍스
- 광역급행열차
- 예산 한정성
- 신보수주의
- 로컬 재발견
- 예산 단일
- 예산 통일
- 수정적 다원주의
- 예산
- 정당
- 정당성
- 추가 배송비
- 정당사
- 선거
- 정치 음모론
- 아르바이트
- 문화지체
- 국가재정법
- 갑진년
- 보수주의
- 엘리트 이론
- 상대다수제
- 의회정치
- 코레일 할인
- 절대다수제
- 섬 지역
- 총계주의
- 독후감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엘리트주의 (1)
세상의 모든 이슈를 소개하는 뉴즈'S 블로그
현대 엘리트론에서 수정적 다원주의와 신보수주의(6)
9. 스트라우스 엘리트주의 스트라우스는 정치 체제에 대해 플라톤적인 전통에 기반을 둔 매우 엘리트주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는 고전 철학자들이 인간의 완전성을 추구하는 형태를 칭찬하며 최선의 레짐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최선의 레짐은 최고의 인간들이 습관적으로 통치하는 것, 즉 귀족정이다. 선은 지혜와 동일하지 않더라도 하여튼 지혜에 좌우된다. 즉 최선의 레짐은 현자의 지배인 것 같다.(Strauss, 1953)’ 물론 소수의 현자들이 다수의 현명치 못한 시민들을 강제로 통치할 수 없다는 것을 스트라우스도 인지하고 있었기에 현실적 해결책으로 그는‘지혜와 동의의 요건을 조화시키는 것’에서 찾고 있다. 사실 이러한 엘리트주의적 관점은 사회의 안정과 질서를 우선시하는 보수주의적 ..
정치
2021. 4. 14. 2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