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절대다수제
- 2024년
- 로컬 재발견
- 섬 지역
- 보수주의
- 정당
- 독후감
- 정당사
- 정당 기원
- 국가재정법
- 상대다수제
- 정당성
- 문화지체
- 예산
- 광역급행열차
- 총계주의
- 의회정치
- 예산 통일
- 갑진년
- 추가 배송비
- 엘리트 이론
- 예산 단일
- 아르바이트
- 선거
- 신보수주의
- 예산 한정성
- 수정적 다원주의
- 코레일 할인
- 정치 음모론
- 크라우드웍스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제도적 접근법 (1)
세상의 모든 이슈를 소개하는 뉴즈'S 블로그
현대 엘리트론에서 수정적 다원주의와 신보수주의(2)
1. 엘리트 이론의 개념 현대 엘리트론을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엘리트라는 개념에 대해 정의를 내리자면 엘리트(elite)는 사회의 각 분야에서 그 분야의 동향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갖고, 또 한 나라의 운명을 좌우하는 영향력을 갖는 비교적 소수의 사람들을 말한다. 원래 귀족주의적인 개념으로서 발생하였다. 간단히 말하자면 엘리트란 사회 내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소수의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엘리트에서 나온 이론인 엘리트 이론은 사회를 기본적으로 엘리트라는 도식에서 파악한 것으로 사회의 중심이 엘리트라고 보는 견해의 총칭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는 권력을 가진 자와 이를 가지지 못한 일반대중으로 나뉘며, 소수관료나 저명인사 등 사회지배계급(엘리트)에 의하여 정책문제가 일방적으로 채택된다는 이론으..
정치
2021. 4. 14. 2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