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이슈를 소개하는 뉴즈'S 블로그

한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화지체(2) 본문

사회

한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화지체(2)

뉴즈'S 2021. 4. 14. 23:14
728x90
반응형
SMALL

2.1 문화 지체의 원인

 

새로운 세상이 오게 되면 그 흐름에 맞춰 사회구성원들이 적응해야 하는 것이 시대적 흐름에 편승할 수 있는 것이 될 것이다. 따라서 문화흐름을 잘 파악하고 꿰둟어 보는 지혜와 안목이 필요하다. 그것이 제대로 안되면 문화지체 현상으로 이어져 각 개인과 사회에 많은 문제를 야기 시키게 될 것이다. 이장에선 문화지체의 원인을 살펴보면 크게 4가지가 있다.

 

1) 문화의 변화 순응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물질문화의 진보에 대하여 물질적 조건의 조정을 수행하는 지식, 경험과 기술 등의 적응 문화의 변화 순응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2) 향수 집착에 의한 정신문화의 정체감이 있다.

적응 문화가 새롭게 개발되더라도 낡은 관습과 문화에의 향수 집착에 의한 정신문화 의 정체감이 있다. 컴퓨터의 발달로 모든 업무를 컴퓨터로 하게 되고 전자 우편까지 등장 하게 된 새로운 문화에 대하여 괴리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3) 여러 가지 집단 저항이 있다.

물질문화의 빠른 변화에는 잘 적응하면서도 비물질 문화의 변화에는 여러 가지 집단 저항이 있다. 물질문명의 발달로 생활의 편리는 모든 사람이 다 누리면서도 가치 체 계나 신념 등의 정신문화의 변혁에는 빠르게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4) 문화 지체 현상은 현대와 기계 문명 사회에는 그 현상이 더 심화되고 있다.

물질문화 발달은 끊임없이 계속 되고 있는데 비해 인간의 정신문화는 물질문화와 발맞추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질문화의 발달과 정신문화의 발달 을 분화하여 나름대로의 독자성을 갖고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2.2 문화 지체 현상의 문제점

 

오늘날과 같이 몇 개월 단위의 새로운 기술과 상품이 등장하는 시대에는 이러한 문화 지체 현상이 갈수록 심화된다. 문화 지체 현상은 규범 체계의 미 정립으로 인한 무질서, 사회구성원들의 불편함, 범죄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결국 문화지체는 사회변동의 결과지만 동시에 사회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문화 지체 현상이 단순히 물질문화와 비물질 문화의 간극 선에서 끝난다면 문제는 없었을 것이지만 백년하청에 현실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비물질 문화에는 인간의 삶과 직결되는 부분이 셀 수 없이 많은지라 알게 모르게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단순한 예로 아파트는 대한민국의 주거 양식을 크게 바꾸었지만, 반대로 층간소음 문제를 야기했다.

 

또한 산업혁명은 인류의 삶을 크게 바꾸어 놨지만, 그 부작용으로 환경오염, 심지어는 영토분쟁까지 야기하고 있다. 토지 매립 등을 중심으로 한 건축학의 발전 역시 부작용으로 영토분쟁을 낳았다. 이러한 갈등이 낳은 비용이 대한민국에서만 연간 300조원(하루 8000억 원)에 육박하는데, 이는 매년 천만 명, 경제 활동 가능 인구의 25%에 육박하는 고용 효과를 지우는 것과 같다.

 

정규직 연봉 3000만원 기준으로 계산한 것이므로, 비정규직까지 감안하면 35%~40% 수준이라고 보면 된다. 1500만 명이 실업자가 되는 꼴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여기에 관련 사건에 의해 생기는 인명피해에 통계에 없는 지하경제 규모, 갈등이 아닌 다른 이유로 발생한 비용까지 계산하면 사실상 하루 1조원 이상이 문화 지체로 낭비되고 있는 꼴이다. 게다가 이 비용은 지금도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인 사례는 다음 글에서 살펴보겠다. 사례를 보면 알겠지만 의외로 많은 수준이 아니라 거의 모든 사회문제의 근원이라고 봐도 좋으며, 앞으로도 사례는 더 많아질 것이다.

728x90
반응형
LIST